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화비 소득공제 수영장 헬스장 이용료 혜택 알아보기

by 유아줌마 2025. 6. 24.
728x90

최근 정부에서 문화비 소득공제 혜택 범위를 넓혔습니다. 도서, 박물관 문화비에서 수영장, 헬스장, 체력단련장 시설 이용료까지 소득공제 혜택이 가능합니다. 문화비 소득공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의외로 적지 않은 금액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이 글에서는 문화비 소득공제의 개념부터 공제대상, 혜택 범위와 문득문득 사이트 내용까지 정리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문화비 소득공제란,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사용한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 미술관 관람, 수영장, 체력단련 시설 입장권  등 문화 관련 지출에 대해 일정 비율로 추가 소득공제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18년부터 도입된 이 제도는 책이나 공연 티켓, 전시 관란 등에 지출을 늘려 문화 소비를 장려하려는 정부의 정책이 반영된 것으로, 총 급여 7000만원 이하 근로자만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카드 사용액만 쌓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소비를 하면서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일석이조의 제도인 것입니다.

 

문화비 공제대상

문화비 소득공제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혜택이 아닙니다. 다음의 요건을 충족해야 적용 가능합니다.

(1) 총 급여 7천만원 이하의 근로소득자로, 연간 총 급여 7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도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자영업자나 프리랜서 소득자도 대상이 아닙니다.

(2)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기본적으로 총 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부터 공제대상입니다. 문화비 역시 마찬가지로, 이 기준을 초과한 범위 내에서 문화비 지출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문화비 지출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세청이 인정하는 사업자에게서 이요한 것이어햐 하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 해당됩니다.

 

 

(1) 도서 구매비
국내 서점에서 구입한 도서는 종이책뿐 아니라 전자책도 포함됩니다. 단, 학습지 참고서 중 일부는 제외되며 반드시 문화비 가맹점 등록이 된 사업자에게서 구매한 경우만 적용됩니다.

(2) 공연 관람료
뮤지컬, 연극, 콘서트, 오페라 등 공연 관람에 지출한 금액이 해당됩니다. 영화 관람료는 2023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되었습니다.
상업성 있는 이벤트성 공연이나 클럽 등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3)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국공립 및 민간 박물관과 미술관의 입장료가 포함되며, 해당기관 역시 문화비 소득공제 가맹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4) 신문 구독료
일간지 및 정기 간행물 중 일부 신문사의 유료 구독료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단, 오락성이나 가십 위주의 주간지는 제외됩니다.

(5) 수영장, 헬스장, 체력단련장 시설 이용권의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됩니다. 시설에 대한 이용료 및 시설 이용에 필요한 수건, 운동복 등 대여료는 100% 적용되며, 운동을 배우기 위한 교육 강습비에 대해서는 50% 적용됩니다.
수영장, 헬스장, 체력단련장 내 식료품, 운동용품 구매비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공제 비율과 제한금액

문화비 소득공제는 기존의 카드 소득공제와 별도로 추가로 공제되는 항목으로 그만큼 절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항목 공제율 공제한도
도서, 공연, 수영장, 헬스장 등 문화비 30%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가능

예를 들어, 연간 카드 사용액이 총 급여의 25%의 초과한 상태에서 100만원을 문화비로 사용했다면, 해당 금액의 30%인 30만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최대 300만원을 문화비로 사용했다면 최대 90만원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이용 가능매장

문화비에서 수영장, 헬스장 등 7월 1일부터 사용할때 이용할 수 있는 매장은 전국 총 1만 7,300여개 시설에서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민간 체육시설(체력단련장업, 수영장업, 종합체육시설업) 16,000여개, 공공 체육시설(체력단련장, 수영장) 1,300여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 주변 이용 가능매장은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 (문득문득 사이트)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다양한 문화생활 누리고 문화비 소득공제로 돌려받으세요! 2018 07. 01 도서 공연비의 문화비 소득공제 시행 (도서, 공연티켓 구입비에 대한 소득공제 적용) 2019 07. 01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의 문화

www.culture.go.kr

 

문화비 소득공제는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고, 동시에 세금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갖춘 제도입니다.
책 한권, 공연 한편, 건강을 위한 단순한 지출이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이자 세금 혜택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지금부터라도 문화소비습관을 생활화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